[광화문 칼럼]美자산축소에 대비한 투자전략이 필요하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부원 기자
입력 2017-08-29 18:2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윤기림 리치빌재무컨설팅 대표

지난 16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공개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을 공개했다. 의사록을 보면 자산축소 계획 발표 시점과 관련해 대다수 위원은 차기 회의 때까지 기다리자는 의견을 내놓았다. 즉, 자산 축소 시기에 대해 논의를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연준은 지난달 25~26일 개최한 FOMC 회의에서 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또 4조5000억 달러 규모의 보유자산을 비교적 가까운 시일 내에 축소하기로 논의했다. 따라서 다음달 19~20일 열리는 정례회의에서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와 관련한 발표가 있을 전망이다.

연준은 몇 년에 걸쳐 보유 채권 중 만기가 돌아오는 원금의 재투자를 축소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줄여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런 미국의 자산 축소 계획이 전해지면서 주가와 환율이 출렁이고 있다.

자산축소를 이해하려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미국은 2008년 리먼 사태 이후 추락하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막대한 양의 달러를 찍어(양적완화) 시장에 풀었다.

그리고 기준금리를 제로(0%)로 낮춰 시장에 달러를 대량으로 공급했다. 이 정책이 성공하면서 경제가 회복세를 보였다. 그러자 시중에 풀린 달러의 양을 줄이는 이른바 ‘테이퍼링’ 정책을 2015년 12월 시작했다.

이제는 살아난 경제의 저해요소가 되는 인플레이션을 잡아야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자산축소가 불가피하다. 자산 축소가 본격화 되면 금리 인상과 함께 달러의 가치 상승으로 이어진다.

달러의 가치상승이 예상되면 신흥국 통화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달러를 사려는 수요가 많아지고 달러 강세로 이어진다. 특히 한국 등 신흥시장의 경우 증시에서 달러가 빠져나가는 자본 유출로 주가가 하락하게 된다.

부동산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국가에서 채권을 사들이기 때문에 채권에 대한 수요가 많아져 국채 가격은 오르고, 국채 수익률은 하락한다. 이런 이유로 세계 금융시장이 미국의 자산 축소 시기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투자전략도 필요하다.

먼저 달러의 가치 상승에 맞춰 달러 자산의 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다. 자산축소와 함께 금리인상도 병행될 것이므로 달러의 가치는 상승 전환한다. 다만 단기차익을 노리기 보다는 장기적인 상승기조를 감안해 투자전략을 세워야 한다.

자본이탈에 따른 유동성 감소와 정부의 8·2부동산대책으로 인한 부동산 시장의 조정에도 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갭투자를 지양하고 불황기의 부동산 투자처인 경매, 부동산부실채권(NPL), 임대부동산 등에 관심을 가질 만하다.

자산축소로 국내 주식시장의 조정도 불가피하다.  따라서 국내 주식의 비중을 줄이고 자산축소 수혜를 볼 수 있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주식의 비중을 늘리는 것도 방법이다.

고평가된 글로벌시장의 단기조정 가능성도 제기되므로 안전자산인 금, 가상화폐, 원자재, 아트펀드, 인프라펀드, 럭셔리펀드, 에너지펀드 등 이색펀드로 분산 투자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하다.

시장은 언제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성장해왔다. 따라서 시장의 흐름을 잘 파악해야 투자에 성공할 수 있다. 글로벌시장의 흐름은 미국의 자산축소와 금리인상으로 결정될 것이다. 이런 시장의 흐름에 맞게 투자전략을 수정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