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수능 전과목 절대평가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한선 기자
입력 2017-07-20 09: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이한선 기자

대학수학능력시험 절대평가를 놓고 의견들이 분분하다.

교육부는 내달 초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초안을 공개할 계획이다.

새 정부에서는 학생들을 점수로 줄 세워 경쟁시키는 상대평가를 개선하기 위해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환하고 장기적으로 자격고사화하겠다는 공약을 갖고 있다.

새 정부의 교육 공약을 주도적으로 준비했던 신임 김상곤 사회부총리도 같은 기조로 정책을 추진하려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사교육 부문과 대학, 그리고 관료 내부 등에서는 반발이 일고 있는 모습이다.

수능 전면 절대평가를 반대하는 측에서는 절대평가로 전환하게 되면 1등급이 서울 주요 대학 입학정원 수보다 늘어날 정도로 증가해 수능의 변별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대학들이 별도의 대학별고사를 강화, 오히려 사교육이 늘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2018학년도 수능 영어 영역의 절대평가 전환으로 대학들이 이미 입시전형에서 영어 반영 비중을 줄여 수학이나 국어, 탐구 영역의 변별력이 높아지는 결과가 됐다는 점도 절대평가의 문제점이 드러나는 사례의 하나로 주장되고 있다.

수능 절대평가뿐 아니라 고교 내신 절대평가인 성취평가제의 대입 반영 방안 마련과 관련해서도 같은 이유로, 수능과 동시에 전환이 이뤄지는 것은 대학의 선발에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며 신중한 정책을 주문하기도 한다.

고교 내신 성취평가제의 대입 반영 방안은 고교 성적 부풀리기의 우려와 함께 변별력 저하가 우려된다는 대학들의 의견에 따라 이미 결정이 4년이나 미뤄져 왔다.

내달 결정을 앞두고 있는 교육부 내부에서도 수능 절대평가 전환과 고교 내신 대입 반영 방안을 놓고 신중론과 개혁론이 맞서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양측의 절충으로 어정쩡한 방안이 도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능 절대평가가 영어처럼 단계적으로 몇 개 과목으로만 확대되는 경우, 오히려 다른 과목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면서 경쟁 교육의 해소와 학생 부담 완화를 통한 토론·체험 등 과정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을 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기존의 지필고사 점수로 학생들을 무한경쟁으로 내모는 관행을 개선하느냐, 아니면 기존의 잘못된 방식을 반복할 것인가 양자 선택의 문제라는 목소리가 높다.

상위 4% 정도가 서울시내 대학에 들어가는 변별력은 대학들이 동점자 기준이나 나름의 선발 기준을 마련하면 되고, 나머지 90%가 넘는 전체 학생들을 위한 정책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과정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도 2021 수능 개편에서 전면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것이 맞는다.

수능 시험 방식은 고교 수업을 좌지우지할 만큼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다.

새 정부 들어 몇 달 지나지 않아 확정하게 되는 2021 수능 개편안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좌우할 만큼 인재 양성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결정이다.

이제 모바일 인터넷만 검색하면 답이 나와 있는 시대에 암기하는 방식의 학습은 문제 해결에 커다란 도움이 되기 어렵다.

창의력과 협동심, 실패해도 일어나는 회복 탄력성과 상대를 배려하는 인성 등이 오히려 중요한 시대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2021 수능 개편은 신중론보다는 개혁론의 방향에서 정책이 정해져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