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치산 토벌대장 차일혁의 삶과 꿈] 동북아 비극 시대에 민중의 지팡이가 되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광효 기자
입력 2017-07-09 15:4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차일혁, 전투 후 죽은 빨치산까지도 묻어주다

[사진: 차일혁기념사업회 제공]

남정옥(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책임연구원, 문학박사)=차일혁(車一赫) 경무관은 빨치산과 싸울 때는 무자비할 정도로 전투를 치렀으나, 일단 전투가 끝나고 나면 전투 중 사살당한 빨치산의 시신을 묻어주라고 대원들에게 지시했다. 차일혁 대장을 따라다니며 전투를 취재했던 전북일보 김만석(金萬錫) 기자는 그때마다 차일혁에게 “왜 적의 시체를 묻어주느냐?”고 따지듯이 물었다. 차일혁은 “살아 있을 때는 적이지만, 죽은 후에는 시체까지 적이 아니다.

 그러니 묻어 주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만석 기자는 그런 차일혁 대장과 경찰들에게 마음을 빼앗기곤 했다. 그리고 전쟁이 끝난 후 술회(述懷)했다. “차일혁 대장 아니 대한민국 경찰의 아량이 그 어느 때보다 무척 빛나 보였다”고 김만석은 자신의 비망록에 글을 남겼다.

 차일혁의 그런 행보는 첫 전투인 구이면 전투부터 시작됐다. 구이면 전투가 끝난 후 빨치산 토벌대장 차일혁은 경찰 전사자 4명의 시신과 부상자들을 모아놓고, 그 앞쪽으로 빨치산들의 시체와 부상자 및 생포자들을 앉혔다. 현장에 쓰러져 있는 대원들의 시체와 빨치산들의 시체를 바라볼 때 차일혁은 너무나 처참한 광경에 가슴이 미어지듯 아프며 눈이 절로 감겨 왔다. 차일혁은 눈을 감은 채 잠시 동안 마음속으로 세상을 버린 그들의 명복을 빌었다.

 그리고 차일혁은 잠시 상념에 잠겼다. “남과 북이 대치된 상태에서 빨치산들과 아무리 원수처럼 싸웠다고 할지라도 조상(祖上)을 같이 하여 이 하늘 아래에서 태어나 같은 대지 위에서 자란 피부와 언어가 같은 동포 아닌가? 젊은 몸뚱이를 악의 구덩이에 잘못 던져 오늘의 이 처참한 최후를 가져왔음이 자업자득의 죄과(罪科)라 할지라도 이렇게 붉은 피 흘리고 흰 눈에 쓰러진 젊은 육신들을 볼 때 얄궂은 민족적 비운을 다시금 뼈아프게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때 차일혁은 비록 목숨을 걸고 싸운 빨치산이지만 마지막 가는 길에 적에 대한 예의로서 야산에 묻으며 장례를 치러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때부터 차일혁은 작전에 지장을 받지 않는 한, 전투 중 죽은 빨치산의 시신들은 꼭 매장해 줬다. 차일혁의 죽은 빨치산 시신(屍身)에 대한 매장 원칙은 철저하게 지켰다. 심지어 차일혁은 자신을 죽이려다 사살된 빨치산 시신까지도 챙겨가며 묻어줬다.

 1951년 4월 중순, 정읍작전 중 차일혁은 밤낮없이 계속된 사흘간의 전투 후 잠시 휴식을 틈타 참호 안에서 잠깐 눈을 붙였다. 차일혁은 그동안 쌓인 피로로 인해 이내 깊은 잠에 빠졌다. 그런데 얼마쯤 있다가 갑자기 천둥치는 큰 소리에 잠을 깨고 보니 차일혁 자신은 천정에서 무너진 흙더미에 파묻혀 있었다. 간신히 흙을 헤치고 참호 밖으로 나와 보니 빨치산시체 1구가 놓여 있었다.

 

[사진: 차일혁기념사업회 제공]

차일혁의 경호병인 보신병(保身兵) 김규수 경사와 연락병 유병수가 “대장님 무사하십니까?”하고 물었을 때 그 동안의 상황을 대충 짐작할 수 있었다. 빨치산 1명이 차일혁이 자고 있는 참호 근처에까지 와서 방망이 수류탄을 던지려는 순간, 유병수 연락병이 발견하고 사살했다. 수류탄은 다행히 참호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서 터졌다. 수류탄 폭발로 차일혁이 쓰고 있던 안경도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고, 시계도 망가져 버렸다. 차일혁은 비록 적일 망정 대담하게 침투한 용기가 가상하다고 생각해서 죽은 빨치산의 시체를 잘 수습해 땅에 묻어주라고 지시했다.

 그렇지만 차일혁이 상대했던 빨치산들은 달랐다. 빨치산들은 경찰들의 시체를 발견하면, 대부분 옷을 벗기고 시신을 훼손하는 일을 서슴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발견된 경찰들의 시신은 차마 눈뜨고 볼 수 없을 만큼 참혹했다. 대부분의 경찰들 시신은 빨치산에 의해 난자당한 채로 산중에 버려졌다. 빨치산들은 경찰들의 시신에 대해서는 온갖 만행을 가하면서도 자기편의 시체는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고는 꼭 챙겨서 달아났다.

 빨치산들은 자신들이 경찰들의 시신을 훼손하기 때문인지, 그들의 동료가 죽으면 가급적 끌고 가서 묻어버리려고 노력했다. 경찰에게 자신들의 동료인 빨치산의 시체가 유린당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차일혁은 빨치산들의 그런 형태를 인간적인 측면에서의 ‘의리’라고 생각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군과 경찰의 전과(戰果)를 방해하려는 전술의 일환으로 판단했다. 차일혁은 빨치산의 그런 행동을 보고 비록 적이지만 느끼는 바가 많았다고 했다.

 차일혁이 빨치산 시신 중 마지막으로 처리해 준 것은 빨치산 총수였던 이현상(李鉉相)이었다. 1953년 10월 8일. 차일혁은 서남지구전투경찰대 제2연대 본부 옆에 있는 섬진강 백사장에서 이현상의 시신을 화장해 줬다. 총탄을 무수히 맞아 만신창이가 된 이현상의 몸 위에 차일혁은 그의 유품인 염주를 올려놓으며 명복을 빌어줬다. 차일혁은 첫 전투에서부터 마지막 전투에 이르기까지 많은 것을 이루고 얻었지만, 그중에서도 차일혁 자신이 했던 일 중 인간적으로 가장 뿌듯하게 여겼던 것은 적에 대해서까지 관용을 베풀었던, ‘빨치산 시신’에 대한 매장이 아니었을까 싶다.

 차일혁은 비록 전투에서는 처절하게 싸웠지만, 죽은 빨치산의 시체에 대해서까지 인간 태초의 순수한 마음을 담아 관대하게 처리했다. 그런 점에서 차일혁은 적에 대해 승리에 대한 강한 의지만을 가진 용맹스런 무장(武將)뿐만 아니라, 인정과 사랑과 눈물을 아울러 가진 ‘휴머니스트 지휘관’이기도 했다. 그런 까닭인지 차일혁이 토벌작전을 했던 전라북도와 지리산 지역에서 차일혁에 대한 ‘원성’은 여태껏 단 한 건도 없었다. 오히려 차일혁에 대한 인간적인 명성과 흠모만이 세인(世人)들의 가슴을 흠뻑 적셔주고 있을 뿐이다. 〈끝〉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