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명소, 용이 사는 못 '용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6-23 12: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용연 [사진=진순현 기자]


아주경제 진순현 기자= 제주관광의 시작과 끝에는 ‘용연(龍淵)’이 있다.

제주국제공항에서 자동차로 5분거리, 제주시 용담동에 위치한 용연은 용두암 관광지 바로 동쪽 해안가에 있는 깊은 계곡이다. 특히 제주의 여행의 시작을 알리는 곳으로 여행의 마지막 추억을 남기는 관광코스로 단연 인기가 높다.
 

▲용두암 [사진=진순현 기자]


한라산 백록담에서 발원한 한천(大川)이 바다로 흐러드는 이 냇골은 예로부터 용연 또는 ‘용담(龍潭)’ ‘용추(龍湫)라고 불렀다. 가까운 곳에 용의 모습을 한 용두암이 있는데다 깊이를 가늠키 어려운 이곳의 물속에 용이 살고 있다 여긴 옛 사람들이 이를 신성시해 생겨난 이름이다. 

특히 용연은 병풍을 두른 듯한 양쪽 벼랑 위에는 여러 종류의 나무가 무성하고 절벽의 돌이끼와 이끼가 고운 꽃잎과 기이한 풀, 아래로는 파도소리가 운치를 더한다. 이처럼 산과 물의 경치가 하나로 어우려져 지금까지도 옛 제주성 주변 경관으로 최고로 꼽는다.

이런 경치로 인해 조선시대 제주에 부임한 목사들은 물론 문인과 묵객들이 배를 띄워 놓고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푸른 절벽이 병풍처럼 둘러싸인 못’이란 뜻으로 ‘취병담(翠屛潭)’이라고 했다. 또한 ‘신선이 노니는 못’이란 뜻으로 ‘선유담(仙遊潭)’으로도 불렀다.
 

▲병풍처럼 써 놓은 듯한 절벽의 마애명이 보인다. [사진=진순현 기자]


오늘날 옛 선비들의 배를 띄워 놓고 풍류를 즐기며 바위나 절벽에 유람의 흔적을 남긴 기념비적인 마애명(磨崖銘)들이 당시 멋스러운 풍류의 흔적으로 전해지고 있다. 영조 15년(1739년) 제주목사 홍중징(洪重徵)이 '비췻빛 벼랑이 병풍처럼 둘러쳐진 못'이라는 의미로 새긴 ‘취병담’을 비롯, 1600∼1900년대의 마애명 20점가량이 있다.

백록담 물 흘러내려
갯가에 못 이뤘으니
기슭은 푸르른 절벽
조각배 찾는 나그네

영조 때 제주에 온 유배인 임관주(1732~?)의 시로 수륙천리 본토와 격리된 절해고도에 귀양온 자신의 고독한 심정을 표현했다. 

속음청사의 기록에 따르면 “병풍처럼 펼쳐진 7∼10m 높이의 기암괴석과 어우러져 옛 선비들이 밤 뱃놀이하며 풍류를 즐겼다”한다. 이러한 ‘용연야범(龍淵夜泛)’은 제주의 절경인 ‘영주 12경’의 하나로 꼽힌다. 
 

▲숙종 28년(1702년) 제주 목사로 부임한 이형상(李衡祥)이 남긴 화첩인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의  '병담범주'(屛潭泛舟)에 취병담에 배를 띄워 놓고 기녀들과 놀이를 즐기고 있는 모습을 그린 모습이  전해지고 있다.[사진=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