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최양희 장관이 언론에 서운한 이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0-22 16: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정부와 기업 등이 협조해 소비자에게 피해가 안가도록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업도 소비자들과 좋은 관계를 갖고 긴 호흡으로 비즈니스를 해야지 소비자 이익을 빼앗아가는 것은 옳지 않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22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중동의 한 음식점에서 진행된 조찬 기자간담회에서 한 말이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 20일 개막해 성황리에 열리고 있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에 대한 설명을 위한 자리였지만 화제는 결국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으로 흘러갔다.

최 장관은 최근 자신의 발언을 둘러싼 논란을 의식한 듯 단통법에 대해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서울 가서… 일단 좀 먹고 얘기하자”며 즉답을 피했지만 기자들의 재차 질문이 이어지자 간담회 말미에 조심스레 입을 열었다.

조심스럽게 자신의 생각을 밝혔지만 ‘특단의 대책’ 같은 강도 높은 단어만 빠졌을 뿐이지 결론은 기존 입장과 같았다. 위의 발언처럼 제조사와 이동통신사들의 후속 조치를 우회적으로 촉구한 것이다. 시간이 필요하다는 말과 보완대책도 마련하겠다는 약속도 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없었다.

인상적이었던 점은 최 장관이 단통법 시행 이후 비판적인 언론보도에 대해 섭섭함을 토로한 대목이었다.

최 장관은 ‘서운한가’라는 질문에 “오래 살 것 같다”는 농담 섞인 말로 답을 대신했고, “각자 의견이 있고 비판이 좋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그는 “(법 시행 및 효과 등 정부의 입장을) 언론에서 잘 안 받아준다는 느낌이 들었다”면서 단말기 지원금 등에 대해 여러 지적들이 제기되고 있는데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도 꽤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최 장관의 이 발언은 시쳇말로 언론에게 ‘까려면 제대로 알고 까라’는 얘기로 들려 불편했다. 언론사는 관보가 아니다. 어떤 사안이 터졌을 때 당연히 정부보다는 독자(소비자)의 입장에 비중을 둬서 기사를 쓸 수밖에 없다.

물론 억울할 수도 있고 책임을 떠넘기는 정치권이 원망스러울 수도 있다. 이미 취임 전 단통법의 윤곽이 확정된 상태였는데 모든 후폭풍만 떠안게 된 모양새가 됐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소한 주무부처의 수장이라면 ‘남탓’보다는 비전을 제시해야 되지 않을까.

차라리 솔직하게 억울하다고 말하는 것이 진정성이 있어 보인다.

법 개정 등 복잡한 절차가 있는 것도 알고 있다. 미래부 선에 보완할 수 있는 대책만 하루빨리 제시해도 언론에게 서운할 일은 확 줄어들지 않을까 싶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