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한신공영 사태 금감원ㆍ회계법인도 공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9-15 15: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투자자를 속여도 유분수죠. 정말 황당합니다."

한신공영 회계오류 사태에 대해 금융감독원 직원도 혀를 찬다. 유가증권시장에 속한 중견 건설사인 한신공영은 최근 2009~2013년 사업보고서를 한꺼번에 바로잡았다. 5년 연속 흑자가 적자로 둔갑했다. 주가는 사업보고서 정정 후 연일 가격제한폭까지 떨어졌다.

한신공영뿐 아니라 회계 감사를 맡은 한영회계법인도 도마 위에 올랐다. 회사와 한영회계법인 간 유착관계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것이다. 금감원은 감사를 제대로 했는지 확인하겠다며 한영회계법인에 대해 뒤늦게 감리에 들어갔다. 당국이 스스로 감리제도 허점을 인정한 것이다. 실제 금감원이나 공인회계사회는 상장사를 정기적으로 감리하지 않는다. 해마다 일부 업체만 임의로 뽑아 감리하고 있다. 5년 이상은 예사이고, 10년 넘도록 감리를 받지 않는 상장사가 적지 않다는 얘기다.

한신공영은 관피아 논란에서도 자유롭지 않다. 한신공영 조선정 감사와 김학주 사외이사는 각각 감사원, 국세청 출신이다. 조선정ㆍ김학주 씨는 문제가 되고 있는 2009~2013년 내내 감사와 사외이사로 일했다.

대다수 상장사가 내놓고 있는 정정공시는 단순 실수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한신공영처럼 심각한 오류 때문에 바로잡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라는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부과한 과징금을 과소계상했다. 미래에셋증권은 불완전판매 혐의로 제소당한 사실을 빠뜨렸다. 올빼미 공시도 여전하다. 경남기업은 1500억원대 공사계약이 해지된 사실을 추석 연휴를 앞둔 5일 장 마감 후에야 공시했다. LS와 삼부토건도 이때 채무보증 공시를 줄줄이 내놓았다.

결국 피해를 보는 쪽은 늘 투자자다. 투자할 의욕이 사라질 수밖에 없다. 문제를 일으킨 상장사나 회계법인에 대한 제재만으로는 이런 악순환을 없애기 어렵다. 당연히 금감원도 책임이 있다. 허점 투성이인 감리제도부터 고치라는 얘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